내용

자수는 인류가 동물의 모피나 식물의 껍질과 잎 등을 원시적 재봉용구로 꿰매고 엮어 옷을 지어 입었던 선사시대에 기원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인류생활이 점차 문명화되면서 옷이나 직물제품에 계급 표시 등을 목적으로 장식 또는 자수를 도입하게 되었다. 따라서, 자수는 직물의 표면을 장식하는 조형예술로 발전되고, 각 민족의 생활환경·풍습·신앙 등에 따라 독자적 양식을 이루고 있다. 우리나라의 자수 역시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시대의 변천에 따라 우리 민족의 미적 특질을 표현해왔다. 자수는 길쌈·바느질 등과 함께 바늘 한땀 한땀의 정성을 통해 일상생활 곳곳에 섬세한 솜씨로 아름다움을 가꿔왔으며, 아울러 민족의 정서를 그 속에서 꽃피웠다.
'자수(刺繡)'는 여러 색실로 바탕천에 무늬를 수놓아 나타내는 조형활동이다. 자수의 유래는 기록상으로는 삼국시대부터 확인되며 고려시대에는 일반백성의 의복에까지 자수장식을 할 정도로 성행하였다. 조선시대에 들어서는 궁수(宮繡: 궁중에서 수방나인에 의해 정교하게 만들어진 수)와 민수(民繡: 민간에서 일반적으로 만들어진 수)로 구분되어 각각 뚜렷한 특징을 보이면서 발전하였다. 한국의 옛 자수들은 색깔이 강하지 않으며, 세부 묘사에도 얽매이지 않고 필요에 따라 대담한 생략법을 구사하였다. 정교하다 하더라도 결코 근시안적인 시각이 아닌 한 걸음 물러나서 관조할 수 있는 윤곽이요, 부드러운 선으로 평가받는다.
배래보
한복의 배래를 닮은 주머니에 동백과 매화를 수놓았다. 동백과 매화는 우리에게 친숙한 꽃이며 매우 아름답다. 조상의 삶이 담긴 자수로 놓아진 동백과 매화는 하얀 천위에서 더욱 돋보인다. 전통의 미감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여 과거의 아름다움이 현재로 이어지도록 했다.
사선보
사선보는 천의 네 귀퉁이를 접어 단추로 여미는 간편한 주머니형태이다. 정사각형의 천에 촘촘한 누빔을 더해 가볍고 튼튼하다. 또한 납작하여 보관에 용이하며 다양한 용도로 사용이 가능한 제품이다. 중앙의 오색실로 만들어진 매듭은 한국적인 미감을 더한다.
본 제품은 국가무형문화재 제80호 자수장 이수자 윤정숙과 아우로이의 조기상 디자이너가 함께 작업한 작품으로 국립무형유산원의 전통기술 전승자 역량강화 과정을 통해 제작되었다.
지역
서울

소재
면누비, 실크사

규격
235 x 125 x 12 / 295 x 155 x 12

제작
국가무형문화재 제 80 호 자수장

비밀번호
수정

비밀번호 입력후 수정 혹은 삭제해주세요.


WORLD SHIPPING

PLEASE SELECT THE DESTINATION COUNTRY AND LANGUAGE :

GO
닫기
TOP